"미적 형식을 사용할 때의 필연적 한계 (Über die notwendigen Grenzen beim Gebrauch schöner Formen)"의 두 판 사이의 차이

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
 
1번째 줄: 1번째 줄:
 
{{AU0001}}의 논문
 
{{AU0001}}의 논문
 +
{{infobox
 +
|title =미적 형식을 사용할 때의 필연적 한계<br><font size="2">(Über die notwendigen Grenzen beim Gebrauch schöner Formen)</font>
 +
|label1 = 작가
 +
|data1 = [[:분류:쉴러, 프리드리히|프리드리히 쉴러(Friedrich Schiller)]]
 +
|label2 = 초판 발행
 +
|data2 = 1795
 +
|label3 = 장르
 +
|data3 = 논문
 +
}}
  
  

2024년 7월 21일 (일) 04:24 기준 최신판

프리드리히 쉴러(Friedrich Schiller, 1759-1805)의 논문

미적 형식을 사용할 때의 필연적 한계
(Über die notwendigen Grenzen beim Gebrauch schöner Formen)
작가프리드리히 쉴러(Friedrich Schiller)
초판 발행1795
장르논문


작품소개

프리드리히 쉴러가 치열하게 고민한 미학과 예술론의 하나로 1795년 <호렌>에 처음 발표되었다. 이 논문에서 쉴러는 학문에서의 서술 방식과 예술에서의 서술 방식을 구분한다. 그리고 과학적 문체, 통속적 문체, 미적인 문체의 특징을 비교한다. 중요한 것은 미적 형식은 동기나 흥미 유발에 유용하지만 남발해서는 안 된다는 것이다. 진리 인식이나 의지적 행위를 위한 서술에서는 미적 형식에 한계를 두어야 하며, 그렇지 않을 때는 위험 요인이 될 수 있다고 보았다. 그런 점에서 쉴러는 취향에 대한 도덕의 우월성을 입증하고자 한다. 미학적인 세련됨이 윤리성을 위협할 가능성에 대해 경고한다. 나아가서 아름다운 것과 진실한 것, 미학적인 언어형식과 학문적-철학적 언어형식의 일치성과 대립성에 대해서도 논의한다. 쉴러는 이 논문에서 취향의 영향력이 인간의 감각적이고 정신적인 힘과 조화를 이룰 뿐 아니라 내적인 결합 속에서 일치하는 것을 목표로 추구한다. 이 같은 결합, 즉 이성과 감각의 조화, 정신과 자연의 조화 속에서 쉴러는 미적 교육의 목적, 즉, 왜곡되고 훼손된 현대인들을 완전한 인간으로 이끌 수 있는 가능성을 본다. 1999년 장상용에 의해 옮겨져 <쉴러의 미학·예술론>에 수록되었다(인하대학교출판부).


초판 정보

Schiller, Friedrich(1795): Über die notwendigen Grenzen beim Gebrauch schöner Formen. In: Die Horen. Tübingen: J. G. Cottaische Buchhandlung.


번역서지 목록

번호 개별작품제목 번역서명 총서명 원저자명 번역자명 발행연도 출판사 작품수록 페이지 저본 번역유형 작품 번역유형 비고
1 미적 형식을 사용할 때의 필연적 한계 쉴러의 미학·예술론 프리트리히 쉴러 장상용 1999 仁荷大學校出版部 203-234 편역 완역


바깥 링크

1. Projekt-Gutenberg 보기